'인구절벽' 위기…정년 연장·폐지 논의 시작

기재부, 고령자 계속고용 위한 사회적 논의 제시

  • 기사입력 2022.06.20 12:48
  • 기자명 조희경 기자

생산가능인구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인구절벽' 위기를 눈앞에 두고 윤석열 정부가 정년 연장·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하기로 했다. 하지만 정년 연장·폐지는 청년층의 극심한 반발과 세대 갈등 등을 야기할 수 있는 민감한 사안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성과를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기획재정부의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정부는 인구구조 변화 대응을 위해 추진할 과제 중 하나로 '고령자 계속고용을 위한 사회적 논의'를 제시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2020년 3738만 명에서 2050년 2419만 명으로 35.3% 줄어든다. 주요 생산연령인구인 25∼49세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36.8%에서 2050년 23.1%까지 축소된다.

이렇게 진행되면 한국의 생산 엔진은 꺼지고 노인 부양과 복지에 들어가는 돈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정부는 관계부처, 연구기관,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민관합동 인구대응 체계를 마련해 인구문제에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부가 대응 계획을 세운 4대 분야는 경제활동인구 확충, 축소사회 대비, 고령사회 대비, 저출산 대응이다.

먼저 정년 연장·폐지는 경제활동인구 확충 차원에서 거론되고 있다. 정부는 고령자 계속고용과 관련해 정년 연장, 정년 폐지, 재고용을 열어놓고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만 60세인 정년을 65세 등으로 늘리거나 아예 없애는 방안, 정년 이후에도 기업이 고령층을 다시 고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사회적 논의 테이블에 모두 올려놓겠다는 것이다.

고령자 계속고용 방식과 함께 임금체계 개편도 논의할 방침이다. 정부는 사회적 논의를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를 통해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보고 있다.

다만 이런 방식의 사회적 논의가 실제 성과로 이어지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인건비 부담이 늘어나는 기업, 일자리를 고령층과 나눠야 하는 청년층의 반발이 만만찮을 수 있기 때문이다.
 

환경경찰뉴스 조희경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