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녹색산업 해외수주 20조원 목표…2027년까지 누적 100조

환경부, 국가별·지역별 수요 맞춤형 수출전략 추진

  • 기사입력 2023.01.04 12:54
  • 기자명 조희경 기자

정부가 올해 녹색산업 수출 수주액 목표를 20조원으로 잡고 이를 위해 민관 원팀을 구성, 적극적인 ‘세일즈 외교’에 나선다. 

환경부는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환경부는 ▲탄소중립을 도약의 기회로, 순환경제도 본격 추진 ▲3대 녹색 신산업을 키우고, 현 정부 내 100조원 녹색산업 수출 ▲홍수 가뭄 걱정 없게 하고, 생활 속 환경 안전망 구축 등의 3대 핵심과제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우선 오는 3월에는 상향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연도별·부문별 이행 계획인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감축 목표는 2018년 7억 2760만톤에서 2030년까지 4억 3660만톤으로 40%를 줄이는 것이다.

또 ‘기후변화영향평가제도’의 대상을 확대하고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도’의 확대 방안도 검토한다.

무탄소 전원인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균형있게 고려하고 무공해차(전기·수소차) 중심의 수송체계를 갖추는 구체적인 실행방안도 내놓기로 했다.

환경부는 제도혁신과 재정지원으로 탄소 무역장벽을 극복하고 저탄소 신산업 창출에도 나선다.

우리 기업이 유럽연합(EU) 탄소 국경조정제도(CBAM) 등 새로운 무역장벽을 넘을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해 탄소중립을 저탄소 신산업과 녹색시장 진출의 기회로 만든다.

규제혁신을 통해 열분해유, 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CCUS) 등 새로운 저탄소 사업을 활성화한다. 이를 통해 당초 보일러 등의 연료로만 사용하는 열분해유를 나프타 원료로도 허용할 방침이다. 

또 녹색산업에 1조 3000억원의 재정지원 등 투자도 늘려가기로 했다.

저탄소 생활문화 정착을 위해 범국민 캠페인과 함께 친환경제품 구매, 다회용기 이용 등의 탄소 저감 활동에는 유인책을 확대하고 이를 토대로 일회용품을 줄이는 다회용기 대여 서비스, 새활용 등 새로운 사회 서비스형 신산업을 육성한다.

지난해 국회에서 확정된 ‘순환경제사회 전환 촉진법’에 따라 생산에서 재활용까지 폐기물의 전 과정에서 자원순환 성과를 높여 탄소중립 실현 뿐 아니라 새로운 성장 먹거리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고품질 순환자원 생산을 위한 인공지능(AI) 폐플라스틱 선별장과 공공 열분해 시설을 확대하고 배터리에서 니켈 등 희소금속을 고효율로 회수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또 올해 안에 경북 포항에 전용 산업단지(클러스터)를 착공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미래 유망 3대 녹색 신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그동안 전통적 오염처리 산업과 환경기초시설에 머물러 있던 국내 녹색산업을 ▲탄소중립 ▲순환경제 ▲물 산업 등 신산업까지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중점 육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올해 20조원, 2027년까지 누적 100조원 수주를 목표로 국가별·지역별 수요 맞춤형 ‘녹색산업 수출전략’을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중동 및 중앙·동남아시아 등 지역별 맞춤형 수출전략을 수립, 그동안 내수시장에 머물러 있는 녹색산업의 해외 진출을 본격화하고 이를 통해 올해 안으로 녹색산업 분야에서 20조원 수주를 추진한다.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등 중동지역은 그린수소, 해수 담수화 등의 분야에서 17조 5000원 수출을,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등 중앙 및 동남아시아에는 산업단지 내 상하수도, 매립가스 발전소 등에 2조 1000억원 수출을 각각 목표로 한다.

아울러 유망 3대 녹색 신산업을 바탕으로 소재·부품·장비 등 진출 분야를 확대하고 북미와 유럽까지 개척해 현 정부 임기 내 100조원 수출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녹색산업 수출 지원체계를 정비해 환경부 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민·관 녹색산업 수출 연합체(얼라이언스)’를 출범시키고 장·차관이 직접 고위급 회담, 기술설명회 등을 진행하는 등 수출을 지원할 예정이다.

환경산업체의 가장 큰 어려움인 재원 조달을 해결하기 위해 녹색채권과 녹색금융을 활성화한다. 올해에만 약 3조 원 규모의 녹색 채권과 3조 5000억원 규모의 정책금융 등 7조 2000억원을 지원한다.

녹색 공적개발원조(그린 ODA)도 124억원으로 전년도 대비 3배 확대하고 정부 간(G2G) 협력체계를 강화해 해외 진출이 힘든 환경산업체의 어려움 해소에 나선다. 

반도체, 자동차 등 우리나라 주요 수출산업의 초격차 유지도 적극 지원한다. 안정적인 공업용수 확보를 위해 하수 재이용을 대폭 확대하고 초순수(ultra pure water) 생산기술을 2025년까지 국산화해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환경부는 댐·보·저수지를 모두 활용해 홍수 및 가뭄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물 수요 증가에 미리 대비하고 물 공급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하수 재이용·해수 담수화·지하 저류 댐 등 물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수자원을 다각적으로 확보한다.

세계 최초로 국가 단위 인공지능 홍수예보와 댐-천 범람을 예측할 수 있는 가상모형(디지털 트윈)을 도입, 위험정보를 조기에 제공해 인명과 재산 피해를 줄이는 골든타임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또 포항 항사댐, 서울 대심도 빗물 터널과 방수로 등 홍수 방어 시설 투자를 시작하고 국가하천 제방도 대폭 정비한다. 하천범람·도시침수 위험도를 평가하는 홍수위험지도를 당초 2025년에서 2024년으로 앞당겨 제작해 기반 시설 투자에 활용한다.

아울러 환경부는 지난해 초미세먼지 농도가 역대 최저치(17.5㎍/㎥)를 기록한 여세를 몰아 본격적인 감축을 추진하기로 했다.

시멘트, 화력발전 등 초미세먼지를 많이 배출하는 업종의 배출기준을 강화하고 시설 설치비용 지원을 병행한다. 무공해 전기·수소차를 올해 70만대까지 보급하고 오염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노후 경유차 폐차에 대한 지원을 기존 5등급에서 4등급까지 확대한다.

이와 함께 가습기 살균제, 불산 유출 등 화학물질로 인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고독성 화학물질을 저독성 녹색 화학물질로 대체하는 종합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2023년은 우리나라 최초의 환경법인 ‘공해방지법’이 제정된 지 환갑이 되는 해로서 그동안의 환경정책의 성과를 바탕으로 기후 위기와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 삶의 질을 높이고, 탄소중립 등 세계질서의 변화 속에서 녹색 신산업을 육성해 성장동력을 높여가겠다”고 밝혔다.
 

환경경찰뉴스 조희경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