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파업 임박, 마지막 협상 진행 중

노사 간 입장차 여전, 12년 만의 대규모 파업 위기에 서울 시민들 불안 가중

  • 기사입력 2024.03.27 18:53
  • 최종수정 2024.03.28 10:09
  • 기자명 공성종 기자
서울시버스노동조합 조합원들이 2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시내버스 노사 조정 회의 재개에 앞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노조는 사측과 조정이 결렬될 경우 28일 오전 4시 첫차부터 파업에 돌입한다.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서울 시내버스는 12년 만에 멈춰 서게 된다.
서울시버스노동조합 조합원들이 2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시내버스 노사 조정 회의 재개에 앞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노조는 사측과 조정이 결렬될 경우 28일 오전 4시 첫차부터 파업에 돌입한다.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서울 시내버스는 12년 만에 멈춰 서게 된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와 사측이 총파업을 하루 앞둔 27일, 마지막 순간에도 협상 테이블에 앉았다. 임금 인상을 비롯한 여러 안건에 대해 양측은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에 위치한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이날, 오후 3시부터 마지막 조정 회의를 진행했다. 이번 회의에는 노조 측에서 박점곤 서울버스노조위원장 등 8명, 사측에서는 김정환 서울시운송사업조합 이사장 등 7명이 참석한 가운데 양측은 극명한 입장 차이를 보였다.

노조 측은 지난 12월 28일부터 이달 23일까지 총 7차례의 중앙노사교섭과 2차례의 사전 조정 회의를 통해 임금 협상을 시도했지만, 양측은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에 노조는 전날 파업 찬반 투표를 진행했으며, 재적 조합원 대비 88.5%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파업안이 가결됐다. 노조는 조정 회의에 앞서 "자정까지 최대한 노력해 합의안을 내고 싶지만, 그러지 못할 경우 내일 오전 4시부터 파업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며 말했다.

반면, 사측은 노조의 시급 12.7% 인상 요구가 과도하다고 주장하며, "올해 공무원 임금인상률과 물가인상률 등을 비교했을 때 노조 측의 요구는 과하다"고 밝혔다. 사측은 또한, 서울 시내버스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사상 최악의 운송수지를 기록하고 있는 점을 강조하며, 노조의 요구를 수용할 수 없음을 명확히 했다.

양측이 12시까지 입장차를 좁히지 못할 경우, 노조는 28일 오전 4시부터 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며, 이로 인해 전체 서울 시내버스의 97.6%에 해당하는 7천210대가 운행을 멈출 위기에 처해 있다. 서울시는 노조가 파업에 돌입할 경우를 대비해 지하철 운행을 1일 202회 늘리는 등의 비상수송대책을 가동할 계획이다.

노조와 사측 사이의 협상은 여러 차례 진행되었으나, 사측은 노조의 요구가 부산과 대구 시내버스 노사가 올해 도달한 4.48% 임금인상률에 비해 2.8배나 높은 인상률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사측은 노조의 요구를 모두 수용할 경우 연간 약 1841억~1923억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며, 이는 결국 서울 시민들의 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사측은 "노조 측의 주장처럼 임금 동결을 제시한 것이 아니며, 최근의 물가상승률과 공무원 임금인상률 등을 감안해 어려운 경영환경에도 불구하고 2.5% 임금인상률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는 서울 시내버스 운전기사가 전국 7대 특별·광역시 중 가장 높은 연봉을 받고 있는 점을 감안한 결정이었다.

서울버스노조의 파업이 현실화한다면, 이는 2012년 이후 12년 만에 처음 발생하는 일로, 당시에는 20분간의 부분 파업이었던 것에 비해 이번 예고된 파업은 규모가 훨씬 크고 영향도 심각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노조의 파업 대비하여 지하철 운행 증편 등 비상수송대책을 가동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이지만,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줄 수 있는 상황이다.

양측의 협상이 난항을 겪는 동안, 서울 시내버스 이용객들은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으며, 서울시는 양측의 조속한 합의 도출을 촉구하고 있다. 서울시는 또한, 파업으로 인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수송대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전했다.

환경경찰뉴스 공성종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