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기업 900곳 넘어, 부실위험 증가세에 경계

한은, "개별 기업의 회생 가능성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 기사입력 2023.09.26 11:15
  • 최종수정 2023.09.27 12:06
  • 기자명 조희경 기자
(자료=한국은행)
(자료=한국은행)

한국은행이 오늘(26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계기업은 총 3903곳에 이르며, 이는 분석 대상 외감기업 2만5135개 중 15.5%에 해당한다. 특히 전년도 대비 한계기업 비중이 증가한 점이 주목을 받고 있다.

장기존속 한계기업, 즉 5년 이상 한계기업 상태가 지속된 기업은 903곳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들은 한계기업 중 23.1%를 차지한다. 또한 이런 기업들의 차입금 규모는 약 5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기업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이 되어 영업이익으로도 이자를 감당하기 힘든 기업을 가리킨다. 이에 따라,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부실위험은 5.67%로, 일반 외감기업의 0.88%와 한계기업의 3.26%보다도 월등히 높다.

2021년 신규로 한계기업으로 분류된 기업 중 22.6%는 2022년에 정상 기업으로 복귀하였으나, 장기존속 한계기업 중에서는 9.9%만이 이러한 회복세를 보였다.

부채 및 차입금 관련 지표를 보면,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평균 자산 및 매출 규모는 비한계기업에 비해 상당히 낮은 반면, 차입금 및 이자비용은 훨씬 높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한편, 한은은 업종별로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상황이 다르다고 분석했다. 예를 들어, 부동산업에서는 영업 현금흐름이 크게 악화되지 않으면서 차입을 통한 투자활동이 지속되고 있으며, 운수 및 사업지원 업종에서는 이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차입금을 줄이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은행은 "부실기업에 대한 정책 시행 시, 단순히 한계기업 여부만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재무 건전성, 자산 규모 및 산업 특성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경찰뉴스 조희경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바일버전